코너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메뉴 바로가기

설문조사 분석(3) 직업으로서의 연극

연극인의 커리어: 어떻게 연극하고 있나요?

김슬기

제254호

2024.05.30

웹진 연극in에서는 지난 3월에서 4월 사이, 약 3주에 걸쳐 서울 지역에서 활동하는 연극인을 대상으로 “연극인의 커리어: 어떻게 연극하고 있나요?”라는 주제의 설문조사1)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기획]에서는 이 설문조사의 결과 분석을 토대로, 이 시대 연극 활동의 특수성을 확인하고 연극인의 지속 가능한 활동을 위한 환경을 함께 고민해보려 합니다. 이번 호에서는 설문조사 결과 중 IV. 연극인으로서 지속 가능한 활동을 위한 커리어 현황, V. 직업인으로서 연극인이 경험하는 일과 삶의 균형, VI. 사회구성원으로서 연극인의 위치와 역할 을 분석합니다.

* 이 글은 전체 설문조사의 응답 결과를 세대별로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이에 더해 성별, 장애 여부, 가구구성원, 주요 직무, 병행하는 직무 등에 따라, 전체 평균값에서 크게 차이가 나는 내용들을 기술했습니다. 다만 이 설문조사에 참여한 응답자는 서울에서 활동하는 연극인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이 아니므로, 백분율이나 평균 그 자체를 해석해 의미를 도출하지는 않았습니다.

* 비율은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을 사용하여 전체 합이 100.0%에서 ±0.1% 정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음.
* 복수 응답의 경우 전체 합이 100.0%를 넘길 수 있음.
* 평균은 100점 환산 점수임.

* 설문지 및 전체 문항에 대한 응답수와 백분율, 평균 등을 분석한 표는 다음 링크(새창으로 열기)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IV. 연극인으로서 지속 가능한 활동을 위한 커리어 관리 현황

1. 전업 연극인으로서의 인식
자신을 전업 연극인으로 인식하는가

자신을 전업 연극인으로 인식하는지에 대한 문항에는 전체의 46.6%가 “예”라고 응답했다. 세대별 응답 비율은 20대 22.2%, 30대 37.7%, 40대 57.1% 50대 58.3%, 60대 이상 78.8%로, 세대가 올라갈수록 그 비율이 현저히 높아졌다. 여성의 53.1% 남성의 42.4%가 자신을 전업 연극인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혈연·혼인 관계의 반려인과 사는 경우 및 혼자 사는 경우 각각 52.9%, 51.7%가 자신을 전업 연극인으로 인식하는 데 비해 혈연·혼인 관계가 아닌 반려인과 사는 경우 22.6%만이 자신을 전업 연극인으로 인식했다. 주요 직무별로는 연출가 66.1%, 기획·제작자 63.6%가 자신을 전업 연극인으로 인식해, 다른 직무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다.

자신이 생각하는 전업 연극인의 기준(주관식)

세대별 응답은 크게 차이 나지 않았지만 모든 세대에서 동일하게 전업 연극인의 기준이 양극단으로 크게 나뉘었다. 한편에서는 연극 이외의 다른 생계 활동을 하지 않거나, 주 수입이 연극 활동인 경우를 전업 연극인으로 보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여타 생계 활동을 하더라도 연극이 우선순위가 되고, 연극을 하기 위해 그 이외의 활동을 하는 경우를 전업 연극인으로 인식했다. 이에 더해 자신이 스스로를 어떻게 정체화하느냐, 활동에 대한 윤리적 고민을 하느냐, 연극인으로서 자긍심을 가지고 있느냐, 하는 점을 전업 연극인의 기준으로 삼는 응답들도 확인할 수 있었다.


2. 연극인 정체성 획득 계기

모든 세대를 종합해봤을 때 처음 작품에 참여하면서의 비율이 31.5%로 가장 높았다. 항목별 세대 응답 비율을 살펴보자면, 처음 계약서를 작성하면서처음 창작 지원금에 선정되면서에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인 세대는 20대였고, 처음 공적인 매체에서 리뷰/비평을 받으면서처음 공모전에 입상, 선발되면서에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인 것은 30대였다. 처음 극단, 협회 등 단체에 소속되면서에 대해서는 60대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처음 가족·지인 등의 인정을 받으면서에 대해서는 40대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기타 응답으로는 “시작한 그 순간부터”, “꿈을 갖기 시작하면서”, “오랜 시간 하면서”, “연극을 계속하기로 마음먹으면서” 등 자신을 기준으로 하는 응답과 “대학 전공 학과에 입학하면서”, “예술활동증명 인정을 받으면서”, “국립극단 시즌 단원에 선발되면서” 등 또 다른 제도를 기준으로 하는 응답, 이밖에 “관객에게 인정받으면서”, “내가 연극인이라고 생각했던 사람들과 작업하면서” 등의 응답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데뷔 이후 연극의 창작·제작 지원금 공모 지원서 작성 경험

20대에서는 “5회 이하”가 50%, “6회~15회”가 29.2%로 나타났다. 30대와 40대에서는 “5회 이하”와 “6회~15회”가 모두 30% 중반대로 고른 분포를 보였다. 한편 50대에서는 “5회 이하”가 33.3%, “없다”가 30.0%로, 60대 이상에서는 “5회 이하”와 “없다”가 모두 27.3%로 확인되었다.
주요 직무별로는 “없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작가의 경우 3.8%로 가장 낮았고,(기획·제작자는 “없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0%였지만, 직무 특성상 이는 당연한 결과로 보인다), 접근성 스태프 37.5%, 배우·퍼포머 24.1%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병행하는 직무가 없는 경우 41.5%가 “없다”라고 응답해, 다른 어떤 직무를 병행하는 경우와 비교해도 매우 높은 비율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지난 1년간 각종 공개모집의 지원서, 신청서 작성 경험

“없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20대와 30대에서 10% 이하인 것에 비해 40대 이상에서는 30~40%의 비율을 보였다. 모든 세대에서 “5회 이하”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지만, 전반적으로 세대가 내려갈수록 신청서 작성 경험의 횟수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행하는 직무가 없는 경우 58.5%가 “없다”라고 응답해, 다른 어떤 직무를 병행하는 경우와 비교해도 매우 높은 비율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연극의 창작·제작에 참여하지 않는 동안의 역량 강화 활동
연극의 창작·제작 활동에 참여하지 않을 때의 역량 향상 활동을 백분율로 표시한 막대 그래프. 1순위의 비율과 1+2+3순위의 비율을 나란히 배치했다.

모든 세대를 종합해봤을 때 공공에서 진행하는 워크숍, 세미나 등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수강한다를 1순위로 선택한 비율이 23.6%로 가장 높았다. 20대 26.4%, 30대 31.2%, 40대 25.4%가 공공에서 진행하는 워크숍, 세미나 등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수강한다를 1순위로 선택했고, 50대는 28.3%가 평소 관심 있었던 영역을 조사 연구한다를 1순위로, 60대 이상에서는 27.3%가 연극하는 동료들과 함께 소모임을 만들어 활동한다를 1순위로 선택했다. 항목별로 보자면, 사설 학원, 개인 레슨 등에 등록한다를 1순위로 선택한 비율은 20대에서 23.6%로 가장 높았다.
장애가 있는 경우 공공에서 진행하는 워크숍, 세미나 등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수강한다사설 학원, 개인 레슨 등에 등록한다를 1순위로 선택한 비율이 10.5%, 0%로, 장애가 없는 경우 24.5%, 9.8%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또한 장애가 있는 경우 혼자서 원하는 방식으로 평소 부족하다고 생각했던 것을 연습한다를 1순위로 선택한 비율이 36.8%로, 장애가 없는 경우 15.4%와 비교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순위 선택에 대한 응답을 주요 직무별로 살펴보자면, 작가, 드라마투르그·비평가, 배우·퍼포머가 다른 항목에 비해 공공에서 진행하는 워크숍, 세미나 등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수강한다를 선택한 비율이 높았고, 연출가는 평소 관심 있었던 영역을 조사 연구한다를 선택한 비율이 높았다. 기술 스태프는 사설 학원, 개인 레슨 등에 등록한다를 높은 비율로 선택했다.
모든 세대를 종합해 1, 2, 3순위의 비율을 더해보면, 평소 관심 있었던 영역을 조사, 연구한다가 64.3%로 가장 높은 비율로 선택되었다. 그 이외 항목의 선택 비율은, 혼자서 원하는 방식으로 평소 부족하다고 생각했던 것을 연습한다 51.8%, 공공에서 진행하는 워크숍, 세미나 등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수강한다 51.1%, 연극하는 동료들과 함께 소모임을 만들어 활동한다 47.2%, 연극하는 동료들이 진행하는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34.1%의 순서로 나타났다.
한편 기타 응답으로, “공연을 보러 다닌다”, “책을 읽는다”, “연극이 아닌 다른 문화예술을 향유한다”, “일상에 집중하고 스스로를 관찰한다”, “체력을 쌓는다” 등의 응답을 확인할 수 있었다.


6. 주기적인 이력서 관리

연극인으로서의 커리어 관리를 위해 이력서(포트폴리오)를 만들어 주기적으로 관리하는지에 대해서는 49.8%가 “예”라고 응답했는데, 세대별 응답률은 20대에서는 36.1%, 30대에서는 51.9%, 40대에서는 60.3%, 50대에서는 55.0%, 60대 이상에서는 45.5%로 나타나 가장 낮은 응답률을 보인 20대와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인 40대 사이에 큰 차이가 확인되었다.
또한 성별에 따라 “예”라고 응답한 비율은 “여성” 63.4%, “남성” 41.75%, “이분법적 성별로 구분되지 않는다” 0%의 비율을 보였다. 주요 직무별로 “예”라는 응답을 보인 비율을 살펴보면, 작가가 65.4%로 가장 높았고, 접근성 스태프가 12.5%, 드라마투르그·비평가가 15.8%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7. 연극의 창작·제작 활동에서의 경력 단절
6개월 이상 경력 단절 경험

전체의 57.0%가 “예”라고 응답했고, 그중 40대가 74.6%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여성의 65.5%, 남성의 55.3%가 “예”라고 응답했으며, 장애가 있는 경우 84.2%, 장애가 없는 경우 55.2%가 “예”라고 응답했다. 주요 직무별로는 배우 65.7%, 작가 65.4%가 “예”라고 응답해 그 비율이 높았으며, 창작 스태프는 15.8%로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

경력 단절 이유(중복 응답)

모든 세대를 종합했을 때 가장 높은 비율로 선택된 항목은 작업 제안이 없어서(58.0%)로 나타났다. 20대와 30대에서는 1순위 응답이 생활비 부족, 2순위 응답이 작업 제안이 없어서였으며, 40대와 50대에서는 반대로 1순위 응답이 작업 제안이 없어서, 2순위 응답이 생활비 부족으로 나타났다. 60대 이상에서는 공동 1순위가 질병 및 기타작업 제안이 없어서로 확인되었다.
한편 각 항목에 대한 세대별 응답률을 살펴보자면, 작업 과정 중 부상 이유로 경력 단절을 경험한 비율은 40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임신과 출산, 육아를 이유로 선택한 비율은 50대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연극계의 부조리를 선택한 비율은 30대에서 가장 높았다. 주요 직무별로 1순위 비율이 두드러지는 경우로, 작가와 배우·퍼포머는 작업 제안이 없어서, 연출가는 제작비 부족을 선택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6개월 이상 연극의 창작·제작 활동을 쉬어본 이유의 백분율을 표시한 막대 그래프.
활동 재개를 위해 필요한 조건

전체의 56.3%가 경제적인 안정을 선택했고, 이는 모든 세대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다음으로 높은 비율을 보인 것은 31.0%의 동료 네트워크다. 그러나 장애가 있는 경우 가장 높은 비율로 선택한 항목이 56.3%의 동료 네트워크로, 장애가 없는 경우 28.5%와 매우 큰 차이를 보였다.

V. 직업인으로서 연극인이 경험하는 일과 삶의 균형

1. 지난 3년간 “연극 활동”, “연극 관련 활동”, “연극과 전혀 상관없는 활동”의 비중
수입

모든 세대를 종합해 봤을 때, 지난 3년간 평균적으로 “연극 활동”, “연극 관련 활동”, “연극과 전혀 상관없는 활동”으로 벌어들이는 수입에 대한 비중은 33.5%, 27.5%, 39.0%로 나타났다.
20대와 30대에서는 “연극과 전혀 상관없는 활동”, “연극 활동”, “연극 관련 활동” 순으로 높은 수입을 벌어들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다만 20대에서는 “연극 관련 활동”의 비중이 18.5%로 다른 세대에 비해 꽤 낮았다. 40대에서는 세 활동에서 벌어들이는 수입 비중에 큰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32.7%, 32.9%, 34.4%), 50대에서 응답한 수입 비중은 “연극 관련 활동”, “연극 활동”, “연극과 전혀 상관없는 활동” 순으로(36.2%, 35.5%, 28.3%) 높게 나타났다. 또한 60대 이상에서는 “연극 활동”의 수입 비중이 다른 활동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혈연·혼인 관계의 반려인과 사는 연극인의 경우 다른 보기를 선택한 응답자보다 “연극과 전혀 상관없는 활동”을 통한 수입의 비중이 가장 낮았다.
병행하는 직무가 없는 경우 다른 어떤 직무를 병행하는 경우와 비교해 “연극과 전혀 상관없는 활동”으로 벌어들이는 수입의 비중이 가장 낮았고, 접근성 스태프를 병행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연극 활동”에서 벌어들이는 수입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시간

모든 세대를 종합해 봤을 때, 지난 3년간 평균적으로 “연극 활동”, “연극 관련 활동”, “연극과 전혀 상관없는 활동”을 위해 쓰는 시간에 대한 비중은 44.6%, 24.9%, 30.5%로 나타났다.
모든 세대에서 “연극 활동”에 가장 많은 시간을 썼는데, 이 비중은 세대가 올라갈수록 높아졌다. 20, 30, 40대는 “연극과 전혀 상관없는 활동”에 쓰는 시간이 그다음으로 많았으나, 50대와 60대 이상에서는 근소한 차이지만 “연극 관련 활동”에 쓰는 시간이 그다음으로 많았다.
직무별로 보자면, 다른 직무에서는 모두 “연극 활동”에 가장 많은 시간을 쓰는 것과 비교해 기술 스태프, 접근성 스태프의 경우 “연극과 전혀 상관없는 활동”에 가장 많은 시간을 썼고, 창작 스태프는 “연극 활동” 및 “연극과 전혀 상관없는 활동”에 같은 비중의 시간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모든 세대를 종합해 봤을 때, 지난 3년간 평균적으로 “연극 활동”, “연극 관련 활동”, “연극과 전혀 상관없는 활동”에서 받는 스트레스의 비중은 42.5%, 24.4%, 33.1%로 나타났다.
30대~60대 이상에서는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는 활동이 “연극 활동”인 것에 비해 20대에서는 “연극과 전혀 상관없는 활동”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40대는 “연극 활동”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51.0%로 다른 세대에 비해 매우 놓았다. 주요 직무별로는 작가가 “연극 활동”에서 받는 스트레스의 비중이 58.8%로 가장 높았고, “연극과 전혀 상관없는 활동”에서 받는 스트레스의 비중은 19.2%로 가장 낮았다.

체력

모든 세대를 종합해 봤을 때, 지난 3년간 평균적으로 “연극 활동”, “연극 관련 활동”, “연극과 전혀 상관없는 활동”에서 소진되는 체력의 비중은 47.2%, 21.6%, 31.2%로 나타났다.
모든 세대에서 “연극 활동”에 가장 많은 체력을 소진했고, 이 중 40대가 51.4%로 그 비중이 가장 높았다. 그다음으로 체력 소진이 많은 활동은 60대 이상을 제외한 모든 세대에서 “연극과 전혀 상관없는 활동”으로 나타났다. 주요 직무별로는 작가가 “연극 활동”에서 소진하는 체력의 비중이 61.8%로 가장 높았다.

연극 활동, 연극 관련 활동, 연극과 전혀 상관없는 활동 세 유형에 대해 수입, 시간, 스트레스, 체력의 비중을 나타낸 막대 그래프.


*** 「설문조사 분석(4) 연극과 삶, 연극과 사회」 기사에서 계속됩니다.

  1. 이 설문조사는 2023년 여름 웹진 연극in 편집위원회의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수개월의 논의를 거쳐 2024년 1월, 웹진의 편집장 김슬기, 에디터 예준미, 편집위원 박하늘이 기획팀을 꾸려 설문문항을 설계했다. 이 과정에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황아람 연구원이 자문으로 참여했으며, 설문조사는 ㈜한국정책리서치에서 진행했다.

기사가 좋았다면 눌러주세요!

좋아요 선택 버튼

김슬기

김슬기 본지 편집장
창작을 위한 읽기와 기록을 위한 쓰기를 한다. 공연예술의 창작과 수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가치에 주목한다. 일상과 연극, 연극과 사회가 만나는 방식 및 예술의 사회적 가치와 예술가의 역할에 대해 고민한다. 공연 드라마투르그를 비롯해 각종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soolsoolgi@naver.com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