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너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메뉴 바로가기

설문조사 분석(1) 현재 상태에 대한 인식

연극인의 커리어: 어떻게 연극하고 있나요?

김슬기

제253호

2024.05.16

웹진 연극in에서는 지난 3월에서 4월 사이, 약 3주에 걸쳐 서울 지역에서 활동하는 연극인을 대상으로 “연극인의 커리어: 어떻게 연극하고 있나요?”라는 주제의 설문조사1)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기획]에서는 이 설문조사의 결과 분석을 토대로, 이 시대 연극 활동의 특수성을 확인하고 연극인의 지속 가능한 활동을 위한 환경을 함께 고민해보려 합니다. 이번 호에서는 설문조사 결과 중 I. 응답자 특성, II. 연극인으로서 자신의 현재 상태에 대한 인식, III. 연극 창작·제작 활동 환경의 특수성을 분석합니다.

* 설문지 및 전체 문항에 대한 응답수와 백분율, 평균 등을 분석한 표는 5월 30일 발행 예정인 254호 [기획] 코너를 통해 공개됩니다.

* 이 글은 전체 설문조사의 응답 결과를 세대별로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이에 더해 성별, 장애 여부, 가구구성원, 주요 직무, 병행하는 직무 등에 따라, 전체 평균값에서 크게 차이가 나는 내용들을 기술했습니다. 다만 이 설문조사에 참여한 응답자는 서울에서 활동하는 연극인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이 아니므로, 백분율이나 평균 그 자체를 해석해 의미를 도출하지는 않았습니다.

* 비율은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을 사용하여 전체 합이 100.0%에서 ±0.1% 정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음.
* 복수 응답의 경우 전체 합이 100.0%를 넘길 수 있음.
* 평균은 100점 환산 점수임.
* 응답자 수가 5이하인 경우는 분석에 포함하지 않음.

I. 응답자 특성

도넛 모양의 원그래프 4개. 각각의 그래프는 연령대, 성별, 장애 여부, 주요 직무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자세한 백분율은 그래프 하단의 기사 참고.
도넛 모양의 원그래프 4개. 각각의 그래프는 연령대, 성별, 장애 여부, 주요 직무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자세한 백분율은 그래프 하단의 기사 참고.
도넛 모양의 원그래프 4개. 각각의 그래프는 연령대, 성별, 장애 여부, 주요 직무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자세한 백분율은 그래프 하단의 기사 참고.
도넛 모양의 원그래프 4개. 각각의 그래프는 연령대, 성별, 장애 여부, 주요 직무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자세한 백분율은 그래프 하단의 기사 참고.

전체 응답자는 305명으로, 세대별 응답자는 20대 72명(23.6%), 30대 77명(25.2%), 40대 63명(20.7%), 50대 60명(19.7%), 60대 이상 33명(10.8%)이다. 성별로는 여성 145명(47.5%), 남성 132명(43.3%), 이분법적 성별로 구분되지 않는다 13명(4.3%), 밝히고 싶지 않다 15명(4.9%)으로 확인된다. 장애가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19명(6.2%)이며, 장애가 없다고 응답한 경우는 286명(93.8%)이다. 장애 유형에 대한 응답자는 근육절단손실 1명, 지체 4명, 뇌병변 6명, 시각 4명, 청각 2명, 신장 장애 2명으로 구성된다. 가구구성원에 대해서는 혈연·혼인 관계의 반려인과 함께 사는 경우 138명(45.2%), 혈연·혼인 관계가 아닌 반려인과 함께 사는 경우 53명(17.4%), 혼자 산다 89명(29.2%), 반려동물과 함께 산다 49명(16.1%), 기타 8명(2.6%)으로 나타난다. 거주 지역은 성북구 14.4%, 서울 외 수도권 12.9%를 제외한 서울의 모든 구에 대해 10% 이하의 고른 분포를 보인다.
주요 직무별로 보자면, 작가 26명(8.5%), 연출가 59명(19.3%), 드라마투르그·비평가 19명(6.2%), 배우·퍼포머 137명(44.9%), 창작 스태프(각 분야의 디자인 및 액팅·움직임 지도 등) 19명(6.2%), 기술 스태프(무대감독 및 각 분야의 어시스턴트·오퍼레이터) 14명(4.6%), 접근성 스태프 8명(2.6%), 조연출 2명(0.7%), 기획·제작자 11명(3.6%), 공연 운영자(하우스 매니저·어셔 등) 3명(1.0%), 기타 7명(2.3%)로 나타난다. 아래는 성별, 장애 여부, 가구구성원, 주요 직무에 대한 응답을 세대별로 분석한 표다.

성별(백분율 %)
세대별 성별 분포표.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여성 37.5 53.2 50.8 46.7 51.5 47.5
남성 43.1 37.7 42.9 48.3 48.5 43.3
이분법적 성별로 구분되지 않는다 9.7 6.5 1.6 0.0 0.0 4.3
밝히고 싶지 않다 9.7 2.6 4.8 5.0 0.0 4.9
장애 여부(백분율 %)
세대별 장애 여부에 대한 분포표.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장애가 있다 4.2 6.5 9.5 8.3 0.0 6.2
장애가 없다 95.8 93.5 90.5 91.7 100.0 93.8
가구구성원(백분율 %)
세대별 가구구성원에 대한 분포표.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혈연·혼인 관계의 반려인 22.2 33.8 52.4 70.0 63.6 45.2
혈연·혼인 관계가 아닌 반려인 33.3 22.1 11.1 6.7 3.0 17.4
반려동물 23.6 15.6 14.3 8.3 18.2 16.1
혼자 산다 26.4 39.0 31.7 18.3 27.3 29.2
기타 0.0 0.0 7.9 5.0 0.0 2.6
주요 직무(백분율 %)
세대별 주요 직무에 대한 분포표.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작가 6.9 10.4 7.9 3.3 18.2 8.5
연출가 13.9 19.5 20.6 23.3 21.2 19.3
드라마투르그·비평가 11.1 10.4 4.8 0.0 0.0 6.2
배우·퍼포머 29.2 40.3 54.0 56.7 51.5 44.9
창작 스태프 12.5 7.8 0.0 3.3 6.1 6.2
기술 스태프 11.1 2.6 4.8 1.7 0.0 4.6
접근성 스태프 9.7 1.3 0.0 0.0 0.0 2.6
조연출 0.0 2.6 0.0 0.0 0.0 0.7
기획·제작자 2.8 2.6 6.3 3.3 3.0 3.6
공연 운영자 2.8 0.0 0.0 1.7 0.0 1.0
기타 0.0 2.6 1.6 6.7 0.0 2.3

주요 직무 외 병행하는 직무에 “해당 없음”을 선택한 응답자는 전체 305명 중 53명이며, 20대 5.6%, 30대 15.6%, 40대 15.9%, 50대 26.7%, 60대 이상 33.3%로, 세대가 올라갈수록 그 비율이 매우 높아졌다. 주요 직무별로 보자면 배우·퍼포머가 39명으로, 전체의 73.6%를 차지했다.

20대에서는 병행하는 직무에 기술 스태프를 선택한 비율이 30.6%, 조연출을 선택한 비율이 26.4%로 가장 높았다. 30대에서는 작가를 선택한 비율과 기획·제작자를 선택한 비율이 모두 27.3%로 가장 높았다. 40대에서는 작가를 선택한 비율이 30.2%, 기획·제작자를 선택한 비율이 25.4%로 가장 높았고, 50대에서는 기획·제작자를 선택한 비율이 28.3%, 창작 스태프를 선택한 비율이 18.3%로 가장 높았다. 60대 이상에서는 연출가를 선택한 비율과 기획·제작자를 선택한 비율이 모두 27.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II. 연극인으로서 자신의 현재 상태에 대한 인식

1. 지난 1년간 자신의 상태에 대한 인식
1) 나는 내가 하는 일을 즐기면서 하고 있다

전체 평균은 74.7점이다. 세대별 평균은 큰 차이가 없었다. 다만 주요 직무별로 그 결과를 보면 접근성 스태프로 활동하는 경우 평균값이 93.7점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기획·제작자가 68.2점으로 가장 낮았다.

2) 나는 스스로 매너리즘에 빠져 있다고 느낀다

전체 평균은 47.0점이다. 20대 52.8점, 30대 52.6점, 40대 46.0점, 50대 40.8점, 60대 이상 34.8점으로 세대가 내려갈수록 매너리즘에 빠져 있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강해졌다. 장애가 있는 경우 평균이 53.9점, 장애가 없는 경우 46.6점으로 차이를 보였고, 주요 직무별로는 접근성 스태프가 62.5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3) 나는 내가 잘하고 있다고 느낀다

전체 평균은 55.5점이다. 60대 이상의 평균이 68.9점으로 가장 높았고, 30대에서 48.1점으로 가장 낮았다.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20대 25.0%인데 비해, 30대 7.8%, 40대 3.2%, 50대 3.3%, 60대 9.1%로 나타나 세대별로 큰 차이를 보였으며, 다만 “매우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비율도 20대가 23.6%로 가장 높았다. 주요 직무별로는 작가의 경우 60.6점으로 가장 높았고, 드라마투르그·비평가 47.4점, 접근성 스태프 46.9점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주요 직무 외 병행하는 직무가 없는 경우 평균이 62.3점으로 다른 어떤 직무를 병행하는 경우보다 그 점수가 더 높았다. 기술 스태프를 병행하는 경우의 평균이 43.5점으로 가장 낮았다.

4) 나는 번아웃이 왔다고 느낀다

전체 평균은 48.2점이다. 평균은 20대 52.4점, 30대 53.6점, 40대 46.4점, 50대 44.6점, 60대 36.4점으로 나타나, 20-30대에서 보다 강하게 번아웃 정도를 느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20대 31.9%인데 비해, 30대 19.5%, 40대 11.1%, 50대 8.3%, 60대 3.0%로 나타나 세대별로 큰 차이를 보였으며, 마찬가지로 “매우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한 비율도 20대가 23.6%로 가장 높았다. 여성 응답자의 평균은 53.8점, 남성 응답자는 42.8점이었고, “이분법적 성별로 구분되지 않는다”의 경우 48.1점, “밝히고 싶지 않다”의 경우 41.7점으로 차이를 보였다. 주요 직무별로는 드라마투르그·비평가의 경우 59.2점, 작가 58.7점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고, 창작 스태프에서 36.8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병행하는 직무가 없는 경우 평균이 35.8점으로 다른 어떤 직무를 병행하는 경우보다도 번아웃을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계속해서 새로운 동료를 만나고 있다

전체 평균은 59.3점이다. 20대 52.8점, 30대 57.5점, 40대 59.5점, 50대 61.7점, 60대 이상 72.2점으로 나타나 세대가 올라갈수록 그 점수가 높아졌으며, “매우 그렇다”와 “매우 그렇지 않다”에 대한 응답이 20대에서 모두 23.6%로 다른 세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주요 직무별로는 작가가 67.3점으로 가장 높았고, 드라마투르그·비평가의 경우 47.4점, 기술 스태프 48.2점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6) 주로 하던 직무 외에 다른 직무 영역에서의 작업을 늘려간다

전체 평균은 51.6점이다. 20대 46.5점, 30대 53.2점, 40대 54.0점, 50대 48.3점으로 20대와 50대보다는 30대와 40대에서 그 점수가 높았지만, 60대 이상에서 59.8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주요 직무별로는 연출가가 57.2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7) 내가 주체가 되어 다음 프로젝트를 기획한다

전체 평균은 57.4점이다. 20대 51.7점, 30대 60.1점, 40대 60.7점, 50대 57.9점, 60대 이상 56.1점으로, 30대와 40대에서 그 점수가 좀 더 높게 나타났다. 주요 직무별로는 연출가가 77.5점으로 가장 높았고, 접근성 스태프가 40.6점으로 가장 낮았다. 병행하는 직무가 없는 경우 평균은 37.3점으로, 다른 직무를 병행하는 경우보다 그 점수가 매우 낮았다.

8) 나는 연극인으로 활동하면서 연극이 더 좋아졌다

전체 평균은 64.3점이다. 20대 54.4점, 30대 63.0점, 40대 67.1점, 50대 70.0점, 60대 이상 72.7점으로 나타나 세대가 올라갈수록 그 점수가 높아졌으며, “매우 그렇다”와 “매우 그렇지 않다”에 대한 응답이 20대에서 각각 25.0%, 26.4% 다른 세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분법적 성별로 구분되지 않는다”의 평균이 26.9점으로 매우 낮았고, 장애가 있는 경우 72.4점으로 장애가 없는 경우 63.7점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주요 직무별 평균은 작가 68.3점, 연출가 67.4점, 배우·퍼포머 67.3점으로 다른 직무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기술 스태프를 병행하는 경우 54.5점으로 다른 직무를 병행하는 경우보다 그 점수가 더 낮았다.


2. 지난 1년간 연극의 창작·제작 활동에 참여하는 양상
1) 되도록 일정한 시간을 정해두고 그 안에서 일한다

전체 평균은 46.3점이다. 20대 40.3점, 30대 42.5점, 40대 48.8점, 50대 48.3점, 60대 59.8점으로, 20-30대에 비해 40-50대에서 그 경향이 조금 더 강해졌고 60대에서는 확연히 그러한 경향이 강해졌다. 남성이 52.1점으로 다른 성별 보기를 선택한 응답자에 비해 점수가 높았고, 장애가 있는 경우 56.6점으로 장애가 없는 경우 45.6점보다 점수가 높았다. 주요 직무별로는 기술 스태프의 평균이 23.2점으로 다른 직무에 비해 매우 낮았고, 병행하는 직무가 없는 경우, 52.4점으로 다른 어떤 직무를 병행하는 경우보다 더 점수가 높았다.

2) 몸이 아파도 동료들과의 약속을 지킨다

전체 평균은 71.9점이다. 20대 61.5점, 30대 72.7점, 40대 77.4점, 50대 73.8, 60대 이상 78.8점을 보여 다른 세대와 비교해 20대의 점수가 확연히 낮았다. 여성 응답자의 평균이 78.4점으로 다른 성별 보기를 선택한 응답자에 비해 점수가 더 높았다.

3) 적절한 보상을 받지 못한다고 느낄 때 책임자에게 이야기한다

전체 평균은 46.1점이다. 20대에서 40.3점, 30대에서 44.5점, 40대에서 44.4점, 50대에서 46.3점, 60대 이상에서 65.2점으로, 50대까지는 큰 차이는 아니지만 세대가 올라갈수록 그 평균이 높아졌고, 60대 이상에서는 그 평균이 압도적으로 높아졌다. 여성 42.2점, 남성 48.5점, “이분법적 성별로 구분되지 않는다”를 선택한 응답자의 평균은 57.7점으로 차이가 분명했다. 주요 직무별로는 창작 스태프가 75.0점으로 다른 직무에 비해 매우 평균이 높았으며, 드라마투르그·비평가가 39.5점으로 가장 평균이 낮았다.

4) 불필요한 감정 노동을 한다고 느낀다

전체 평균은 53.4점이다. 20대에서 47.6점, 30대에서 60.7점, 40대에서 57.9점, 50대에서 52.5점, 60대 이상에서 42.4점으로, 20대와 60대 이상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여성 응답자의 평균이 57.9점으로 다른 성별 보기를 선택한 응답자에 비해 높았다. 한편 주요 직무별로는 연출가 57.6점, 기획·제작자 56.8점으로 다른 직무에 비해 평균이 높았고, 기술 스태프와 접근성 스태프가 모두 37.5점으로 평균이 가장 낮았다. 병행하는 직무가 없는 경우 49.5점으로 다른 어떤 직무를 병행하는 경우보다 점수가 더 낮았다.


3. 연극의 창작·제작 활동에 대한 착취 경험
1) 연극 창작·제작 활동을 하면서 자기 착취를 경험한 적이 있다

전체 평균은 62.8점이다. 20대에서 58.3점, 30대에서 71.4점, 40대에서 71.4점, 50대에서 56.7점, 60대 이상에서 47.0점으로, 30대와 40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특히 40대에서는 다른 세대에 비해 “매우 그렇지 않다”를 선택한 응답자가 한 명도 없었다. 여성 응답자의 평균은 74.0점으로, “매우 그렇지 않다”를 선택한 사람이 한 명도 없었다. 주요 직무별로는 작가가 77.9점으로 가장 높았고, 병행하는 직무가 없는 경우 53.3점으로, 다른 어떤 직무를 병행하는 경우보다 그 점수가 낮았다.

2) 연극 창작·제작 활동을 하면서 동료들과 상호 착취를 경험한 적이 있다

전체 평균은 54.8점이다. 20대에서 45.1점, 30대에서 58.8점, 40대에서 69.0점, 50대에서 50.4점, 60대 이상에서 47.0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인 20대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40대 사이에 23.9점의 매우 큰 평균 차이를 보였다. 40대에서는 다른 세대에 비해 “매우 그렇지 않다”를 선택한 응답자가 한 명도 없었다. 여성이 66.0점으로 다른 성별 보기를 선택한 응답자에 비해 점수가 높았고, 장애가 있는 경우 38.2점으로 장애가 없는 경우 55.9점보다 점수가 매우 낮았다. 주요 직무별로는 기획·제작자가 68.2점으로 점수가 가장 높았고, 병행하는 직무가 없는 경우 45.3점으로 다른 어떤 직무를 병행하는 경우보다 그 점수가 낮았다.



*** 「설문조사 분석(2) 활동 환경의 특수성」 기사에서 계속됩니다.

  1. 이 설문조사는 2023년 여름 웹진 연극in 편집위원회의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수개월의 논의를 거쳐 2024년 1월, 웹진의 편집장 김슬기, 에디터 예준미, 편집위원 박하늘이 기획팀을 꾸려 설문문항을 설계했다. 이 과정에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황아람 연구원이 자문으로 참여했으며, 설문조사는 ㈜한국정책리서치에서 진행했다.

기사가 좋았다면 눌러주세요!

좋아요 선택 버튼

김슬기

김슬기 본지 편집장
창작을 위한 읽기와 기록을 위한 쓰기를 한다. 공연예술의 창작과 수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가치에 주목한다. 일상과 연극, 연극과 사회가 만나는 방식 및 예술의 사회적 가치와 예술가의 역할에 대해 고민한다. 공연 드라마투르그를 비롯해 각종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soolsoolgi@naver.com

댓글 남기기